폴크스바겐 비틀보다 크고 싸다 - 1961년 닷산 블루버드 일본의 2번째 또는 3번째 순수 국산차인 닛산 (수출할 때는 닷산) 블루버드는 1961년에 이미 미국에 수출하고 있었는데, 광고에서 카메라, 라디오, 전자제품, 기타 정밀기계에 이어 자동차에서도 일본제가 경쟁자인 독일제보다 싸고 더 좋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닷산 블루버드의 경쟁자는 .. 기타 2016.01.28
닛산의 명차 블루버드 3세대 (1967-1972) 닛산의 3세대 블루버드는 그 전까지 유럽차들을 흉내낸다는 소리를 듣던 일본차가 이제 뭔가 독창적인 것이 있다고 인정을 받는 계기가 된 차이고 닛산(당시 닷산 브랜드로 수출)에게 스포티한 이미지를 준 차이다. 1960년대 일본차들은 먼저 바디 스타일, 그 다음 엔진, 그 다음 서스펜션,.. 기타 2015.12.22
혼다 레전드가 일본에서 안 팔린 이유 "혼다에서 보는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진화에 딱 30년 전 1985년에 나온 혼다의 앞바퀴 굴림 고급차 레전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네요. ( http://r-cube.ritsumei.ac.jp/bitstream/10367/3271/1/be41_4nagasawa_iwakura.pdf )" " 그러나 일본 시장에서는 도요타의 크라운과 닛산의 세드릭같은 "운전수 있음".. 기타 2015.11.19
[스크랩] 일본차의 매력은? - 1970년 The Economist 일본의 모터라이제이션이 한창 진행되고 수출도 많이 늘던 1970년 The Economist가 일본차를 평하길 일본차의 스타일은 별로지만 세일즈맨쉽은 아무도 따라가지 못할 정도고, 납기 잘 지키고 가격도 싸면서 딜러에게 더 높은 마진을 준다고 평했네요. 1969년 The Economist의 토요타 크라운과 코로.. 카테고리 없음 2014.08.05
[스크랩] 40년 전 일본에서 2000cc 넘는 차 절반 이상은 수입차 1974년 11월 2일 The Economist 기사인데 일본에서도 2,000cc 넘는 차들의 절반 이상은 수입차였다고 하네요. 1973년 유럽차 수입댓수 총 24,000대 중에서 독일차가 21,100대였으니 대부분 2,000cc 넘는 메르세데스 벤츠였을 것 같네요. 좁은 일본의 도로에 엄청나게 큰 캐딜랙은 별로 수입되지 않았을 .. 기타 201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