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포클랜드전쟁 5편 - 미국의 중재 노력과 소련의 개입 가능성 영국이 기동부대를 출동시키고 아르헨티나는 포클랜드 주둔 병력을 늘려 두 나라가 전쟁으로 치닫고 있을 때 이들을 말려 보겠다고 영국과 아르헨티나를 오가는 “셔틀 외교”에 나선 미국의 <알렉산더 헤이그> 국무장관은 특이한 경력을 가진 인물이었다. 1947년 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를 졸.. 포클랜드전쟁 2007.04.17
[스크랩] 포클랜드해전의 항모 vs. 항모 (탐색과 식별) 미국해군 항공모함의 탐지거리가 가장 긴 액티브 센서는 E-2C 조기경보기의 레이다이고 이 레이다는 반경 약 250 NM까지 탐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신형은 40% 늘어난 350 NM까지 탐색). 반면 영국해군 경항모의 경우 미확인 컨택이 있는 곳으로 날아가서 알아 보는 'probe' 임무를 수행하는 .. 포클랜드전쟁 2007.04.12
[스크랩] 시해리어의 기원, 역할, 능력 및 실전 기록 - 완결 지난 3월 31일 영국해군의 시해리어 FA2가 완전히 퇴역했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크게 활약하며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지고 한 세대를 풍미한 시해리어의 기원, 역할, 능력 및 실전기록에 대해 알아보자. 시해리어의 기원 시해리어는 1969년 4월 영국공군 제1전투기대대에 실전 배치된 세계최초의 수.. 무기체계 2007.04.12
[스크랩] 오스트레일리아해군 오스트레일리아의 건국과 영국해군의 역할 오스트레일리아의 건국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첫 총독인 영국해군의 아더 필립 대령이 이끄는 선단이 죄수들을 싣고 뉴사우스웨일즈의 보터니 만에 도착한 1788년 1월 26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이 뉴사우스웨일즈를 첫 정착지로 선택했을 때 이곳을 죄수.. 해군사 2007.03.23
[스크랩] 포클랜드전쟁 4편 - 영국 기동부대의 출동 앞으로 어떠한 동맹국의 도움도 없이 혼자서 상륙작전은 벌일 일이 없다고 데니스 힐리 국방장관이 단언하고 16년이 지나서 갑자기 전혀 예상치 못한 장소에서 결코 얕볼 수 없는 적을 상대로 홀로 싸우게 된 영국이 가장 먼저 한 일은 국제사회의 여론을 영국 쪽으로 돌리는 것이었다. UN 안전보장이.. 포클랜드전쟁 2007.03.19
[스크랩] 포클랜드전쟁 - 헤네랄 벨그라노의 격침 1982년 4월 27일 아르헨티나해군은 포클랜드로 다가오는 영국기동부대를 요격하기 위해 항공모함 <베인티싱코 데 마요>와 시다트 함대공 미사일로 무장한 42형 방공구축함 2척을 주력으로 하는 79.1 기동부대를 포클랜드의 북쪽 바다로 보내고, 경순양함 <헤네랄 벨그라노>와 엑조세 MM38 함대함 .. 포클랜드전쟁 2007.03.07
[스크랩] 포클랜드전쟁 - 산 루이스의 전투 기록 포클랜드로 다가오는 영국해군 기동부대를 요격하기 위해 항공모함 <베인티싱코 데 마요>, 시다트 함대공 미사일로 무장한 42형 방공구축함 2척을 주력으로 하는 79.1 기동부대와 경순양함 <헤네랄 벨그라노>, 엑조세 MM38 함대함 미사일로 무장한 섬너급 구축함 2척으로 이루어진 79.3 기동부대.. 포클랜드전쟁 2007.03.06
[스크랩] 포클랜드전쟁 3편 - 영국 수비대의 항복과 영국의 SSN 파견 우고 산틸론 소령이 탄 선두 LVTP7은 요크 포인트의 하얀 모래를 밟고 육지로 올라왔다. 이 수륙양용 장갑차에 탄 아르헨티나 해병대원들은 긴장된 표정으로 총을 밖으로 겨누었는데 엄폐물이 전혀 없는 넓은 모래밭인 이곳을 누군가 지키고 있었다면 산틸론 소령의 LVTP7은 아주 좋은 표적이 되었을 것.. 포클랜드전쟁 2007.03.05
[스크랩] 포클랜드전쟁 2편 - 아르헨티나의 침공 영국의 해외영토 사우스 조지아 섬에 무허가 상륙한 아르헨티나 인부들이 스스로 떠나지 않으면 모두 잡아가겠다고 영국 정부가 통보한 3월 23일, 아르헨티나 군부는 이 인부를 지킬 무장병력 14명을 태운 수송한 <바히아 파라이소>를 사우스 조지아로 보내면서 미리 세우고 있던 침공 계획을 얼마.. 포클랜드전쟁 2007.02.14
100년 전 영국-독일 해군 경쟁과 사이에 낀 네덜란드의 선택 20세기 초 영국과 독일이 해군력 증강 경쟁을 벌일 때 영국과 독일 사이에 낀 네덜란드는 무엇을 했나에 대해 네덜란드 학자 Hubert P. van Tuyll가 쓴 글입니다. 독일의 해군력 증강은 네덜란드와 아무련 상관이 없었고, 네덜란드해군의 주력은 본국이 아니라 식민지 인도네시아에 가 있었으며, 독일의 황.. 해군사 2007.01.21
[스크랩] 이탈리아해군 조기경보 EH-101의 운용 방법 Norman Friedman의 World Naval Weapon Systems 5th Edition의 198쪽에 HEW-784 레이다를 밑에 붙인 이탈리아해군의 조기경보형 EH-101의 운용 방법에 대해 나왔는데 항모로부터 50NM 떨어져 고도 10,000피트에서 작전하고 미국해군의 SH-60B LAMPS III처럼 데이터링크를 통해 모든 데이터를 모함으로 보내 처리할 것이라고 합니.. 무기체계 2007.01.20
[스크랩] 마침 KNTDS 2차 체계의 전시반경도 2,000km (1,024NM) 날짜 : 2004.05.13 22:17 역시 해군대학 발간 해양전략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특히, 표적처리 능력과 전시반경의 확대로 원해 표적 및 다량의 표적정보를 전시할 수 있으며," 구분 1차 체계 2차 체계 체계성격 함대 중심의 시험 체계 작전사 중심의 완성 체계 통신망 Link-11, 14(HF), ISDL TIBL, OP-NOTE 기능 추가 .. 무기체계 2007.01.17
[스크랩] 한국해군의 목표 - 2,000km 감시권까지의 작전수행 해군에서 만드는 해군지 1/2월호에 해군본부 정책홍보실 정책기획과장 김판규 대령님이 쓴 "해군력 건설의 필요성(II)"에 나온 내용입니다. 2,000km 감시권까지의 작전수행이 목표 중의 하나네요. 제주도에서 아래로 2,000km면 필리핀까지 닿는데, 이 바다를 뭘로 감시하겠다는 것일까요? ----- 우리 해군력.. 무기체계 2007.01.17
[스크랩] 덴마크해군의 역사 - 1945년 이후 1945년 이후 중립을 포기하고 서방 동맹의 일원으로 다시 태어난 덴마크의 해군 중립을 선언하고 어느 누구에게도 위협이 되지 않겠다며 군사력을 사실상 포기해봤자 강대국의 전략적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영토와 주권을 유린당한다는 뼈저리게 경험한 덴마크는 중립을 포기하고 1949년 NATO에 가입, .. 해군사 2007.01.03
[스크랩] 덴마크해군의 역사 - 1500년부터 1945년까지 전체 인구가 540만명에 불과한 북유럽의 소국인 덴마크의 해군이 주목할 만한 변신을 꾀하고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연안방어 해군이었던 덴마크해군은 다국적 해외원정작전 및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기여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덴마크정부의 발언권을 뒷받침할 수 있는 대양해군으로 탈.. 해군사 2007.01.03
[스크랩] 포클랜드전쟁 1편 - 영유권 분쟁의 기원부터 아르헨티나의 침공 직전까지 지금으로부터 25년 전인 1982년, 영국과 아르헨티나는 남대서양의 한쪽 구석에 있는 잘 알려지지 않은 섬 포클랜드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전쟁을 벌였다. 4월 2일 아르헨티나의 기습 침공으로 시작되어 6월 14일 아르헨티나군의 항복으로 끝난 이 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본격적.. 포클랜드전쟁 2006.12.19